2025년 청년기본소득 신청, 언제 해야 할까요? 신청 기간을 놓치면 1년에 최대 100만 원이라는 혜택을 놓칠 수 있습니다. 신청 자격이 되더라도 ‘신청일’을 놓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. 아래에서 본인 신청 분기를 지금 확인해보세요.
2025년 청년기본소득 신청은 분기별로 진행됩니다
청년기본소득은 매년 4분기로 나뉘어 분기별 신청이 진행됩니다. 각 분기에는 출생연도와 생일 범위에 따라 신청 가능한 대상이 정해집니다.
2025년 기준 신청 가능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:
분기 | 출생연도/월 | 신청 기간 | 지급 예정일 |
---|---|---|---|
1분기 | 2000.01.02 ~ 2000.12.31 | 2025.03.01 ~ 03.31 | 2025.04.20 |
2분기 | 2000.04.02 ~ 2000.12.31 | 2025.05.01 ~ 05.30 | 2025.06.20 |
3분기 | 2000.07.02 ~ 2001.07.01 | 2025.07.01 ~ 08.11 | 2025.09.10 |
4분기 | 2000.10.02 ~ 2001.10.01 | 2025.10.15 ~ 11.24 | 2025.12.20 |
신청 기간은 보통 한 달 정도로 운영되며, 분기별 생일 대상자가 달라집니다. 신청 시기에 늦으면 이번 분기는 자동으로 탈락하며, 다음 분기를 다시 기다려야 하니 꼭 기한 내에 신청하세요.
신청 기간 안에 꼭 해야 하는 이유
청년기본소득은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. 본인이 직접 신청 기간 내에 접수해야 지급 대상자가 됩니다.
게다가 같은 분기 내 신청자가 너무 많을 경우 지급 일정이 지연될 수 있기 때문에, 가능하면 시작일에 맞춰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신청 시기 헷갈리지 않게 확인하는 팁
✔ 생일 기준 분기를 먼저 파악하세요. ✔ 캘린더에 신청 시작일을 미리 표시해 두세요. ✔ 신청 마감 하루 전에는 시스템이 혼잡할 수 있으니 가능한 빨리 접수하세요.
또한 거주 요건이나 나이 요건을 충족해도 ‘시기’를 놓치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. 이 점 꼭 유념해 주세요.
결론: 신청자격보다 중요한 건, 신청 타이밍입니다
많은 분들이 자격은 맞는데 시기를 놓쳐서 청년기본소득을 못 받는 안타까운 일이 생깁니다. 이 제도는 ‘본인이 신청해야’만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.
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금전 지원이 아니라, 청년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든든한 출발점입니다. 지금 본인의 신청 분기를 확인하고, 놓치지 말고 챙겨보세요.